지금까지 배운 주요 상담이론 중, 한 가지를 선택하여 주변 사람을 대상으로 상담사례를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작성해서 제출하세요. – 내담자 인적사항 및 특성, – 의뢰 경위 및 상 |
![]() |
해당 자료는 해피레포트에서 유료결제 후 열람이 가능합니다. |
분량 : 5 페이지 /hwp 파일 |
설명 : 지금까지 배운 주요 상담이론 중, 한 가지를 선택하여 주변 사람을 대상으로 상담사례를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작성해서 제출하였습니다.( – 내담자 인적사항 및 특성, – 의뢰 경위 및 상담 배경, – 내담자 주 호소 문제, – 내담자 발달사 및 가족력, – 치료자가 본 내담자의 문제, – 치료목표 및 전략, – 치료진행, – 치료결과) |
Ⅰ. 서론 Ⅱ. 본론 1. 선택한 상담이론(인지행동치료) 2. 선택한 이론(인지행동치료)에 기반한 상담사례 1) 내담자 인적 사항 및 특성 2) 의뢰 경위 및 상담 배경 3) 내담자 주 호소 문제 4) 내담자 발달사 및 가족력 5) 치료자가 본 내담자의 문제 6) 치료 목표 및 전략 7) 치료 진행 8) 치료결과 Ⅲ. 결론 Ⅳ. 참고문헌 급변하는 현대사회에서는 이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많은 문제를 안고 살아가고 있다. 직면하게 되는 문제들에 대응하기 위하여서는 상담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상담은 개인적 발달의 방향으로 현명한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촉진하는 것으로 도움이 필요한 내담자와 전문적 훈련을 쌓아 조력자의 자격을 갖춘 상담자 사이에 이루어지는 일련의 조력관계 과정이다. 즉, 상담이란 삶의 과정에서 어려움에 직면해서 도움이 필요한 사람(내담자)과 돕고자 하는 |
![]() ![]() ![]() ![]() ![]() |
출처 : 해피레포트 자료실 |
- 적, 완벽주의 성향
- 주요 특성: 타인의 시선을 지나치게 의식함, 자기비난 강함
2) 의뢰 경위 및 상담 배경
- 내담자는 발표와 시험, 인간관계에서 극심한 긴장과 불안을 경험하며 상담을 의뢰함.
- 특히 지도교수의 지적 이후 자존감이 크게 흔들리고 학업에 집중이 어려워짐.
3) 내담자 주 호소 문제
- “사람들이 나를 무능하게 볼까 봐 불안하다.”
- “실수하면 나라는 사람 전체가 부족한 것처럼 느껴진다.”
- “항상 ‘완벽해야 한다’는 생각 때문에 피곤하다.”
4) 발달사 및 가족력
- 어릴 때 부모가 성적과 태도에 대해 높은 기대를 보였고, 실수에 대해 자주 지적.
- 형제자매와 비교를 자주 당하며, ‘부족하다’는 인식을 내면화함.
5) 치료자가 본 내담자의 문제
- 자동적 사고: “나는 항상 완벽해야 한다.”
- 인지 왜곡: 이분법적 사고, 재앙화, 개인화
- 핵심 신념: “나는 가치 없는 사람이다.”
- 회피 행동: 발표 피하기, 질문하지 않기, 학업 포기 충동
6) 치료목표 및 전략
- 목표: 자동적 사고의 인식과 수정, 자존감 회복
- 전략:
- 자동적 사고 탐색 및 사고기록지 작성
- 인지 재구성 기법을 통해 비합리적 사고 도전
- 행동실험을 통해 현실적 검증 경험 제공
- 이완훈련 및 자기긍정 훈련 병행
7) 치료 진행 (요약)
- 1~2회기: 주호소 탐색, 상담 목표 수립
- 3~4회기: 사고기록표 작성 및 분석 → ‘실수 = 무가치함’ 사고 도출
- 5~6회기: 사고 도전 → 증거 찾기 및 대안 사고 생성
- 7~8회기: 발표 전 불안감 관리 기법, 행동실험 진행
- 9~10회기: 자존감 회복을 위한 자기칭찬 일기, 긍정적 자기 대화 훈련
- 전반적으로 불안감 감소, 발표를 회피하지 않고 참여하기 시작함
8) 치료 결과
- 부정적 자동적 사고의 빈도 감소
- 발표에 대한 불안이 “매우 힘듦”에서 “약간 부담됨”으로 변화
- “완벽해야 한다”는 강박적 사고가 줄고, “실수해도 괜찮다”는 인식 획득
- 학업에의 의욕 회복, 지도교수와의 대화 시 긴장 완화
Ⅲ. 결론
본 상담은 내담자의 비합리적인 사고 패턴을 인지하고 이를 수정하는 과정을 통해 실질적인 정서적 변화를 이끌어낸 사례다. CBT의 강점은 실용성과 구조화된 접근법에 있으며, 특히 불안과 자기비난을 겪는 내담자에게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Ⅳ. 참고문헌
- Beck, A. T. (1976). Cognitive Therapy and the Emotional Disorders.
- 김계현, 강문희 외 (2019). 『상담이론과 실제』. 학지사.
- 권석만 (2017). 『현대 이상심리학』. 학지사.